경제&투자 뉴스

트위치 빠지고 네이버 들어온다 (feat. 치지직 CHZZK)

지올라 2023. 12. 10. 09:10
반응형

 

갑작스럽게 놀라운 소식이 들렸습니다. 내년 24227일부로 아마존에서 운영하는 게임 방송 플랫폼인 트위치가 한국에서 철수한다는 내용인데요, 트위치가 한국 시장에서 철수하는 원인은 다들 들으셨다시피 통신망 사용료가 너무 비싸기 때문입니다.

 

통신 3사에서는 이런 트위치에 주장에 해명하는 자료를 배포했지만, 네티즌들은 달갑게 받아들이지 않고, 오히려 이 해명에 대해 분노만 더 커지고 있죠.

 

이런 틈을 타서 네이버가 치지직(CHZZK, 가칭)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런칭을 준비 중이라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국내 업체에서 이런 사업을 시작하는 것에 대해서 항상 응원할 수밖에 없는데요, 꾸준히 성장해 유튜브와 맞서는 그날이 오길 기대합니다.

 

 

< 아프리카 TV의 대항마 트위치... 이제 사라진다. >

 

2017년부터 보는 게임문화를 만드는 데 크게 기여한, 게임 방송 플랫폼인 트위치가 내년인 24227일부터 한국 시장에서 떠난다고 합니다.

 

트위치기 한국 시장에서 어느정도의 이익을 얻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트위치의 전체 영업이익에서 한국 시장의 비율을 산출해, 트위치가 한국 시장에서 얼마의 수익을 벌었는지 추정할 수 있습니다.

 

트위치는 2022년 원화 기준으로 기준 대략 35천억 원의 매출액을 기록했습니다. 트위치 내 한국어 방송이 차지하는 비중은 6%입니다. 이것을 기준으로 트위치의 한국 시장에서 매출액을 추산하면 대략 2,036억 원입니다. 대표 경쟁업체인 아프리카TV2022년 매출액이 3,150억 원인 것을 고려하면 비교적 실적이 크진 않습니다.

 

트위치는 한국 시장 진출 초창기부터 통신사에 망 사용료를 내는 것에 대해서 상당히 불평이 많았는데요, 이런 망 사용료를 충당하기 위해 스트리밍 해상도를 1050p에서 750p으로 낮추고, 다시 보기 서비스를 중단하는 등 여러 가지 노력을 해왔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망 사용료가 다른 국가에 비해 10배가 높다며, 이 비용 충당이 힘들다는 이유로 트위치는 한국 시장에서 떠날 것이라 말했죠.

 

 

< 통신사의 해명... >

 

이를 두고 통신사들은 해명자료를 냈습니다. 하지만, 역풍만 맞고 있는 듯 보입니다. 통신사의 변을 살펴보면, 트위치에서 말한 10배가 비싸다는 것은 거짓말이라고 통신사들은 주장합니다.

 

또한 아프리카TV의 경우 꾸준히 실적이 증가하고 있다고 말하며, 트위치가 한국 시장에서 떠나는 것은 다른 게임 방송 플랫폼과의 경쟁에서 밀려 시장을 떠나는 것인데, 괜히 한국 통신망 사용료가 비싸다는 말만 한다고 주장합니다.

 

통신사들은 이에 덧붙여 망 사용료가 비싸다면 트위터 측에서 통신사와 협상하면 되는 것인데, 트위터는 그 어떠한 노력도 하지 않는다고 말했죠.

 

이런 통신사의 해명(?)에 네티즌들은 딱히 달갑게 보지 않는 분위기입니다.

 

참고로 최근 국회 국정감사에 자료에 의하면 글로벌 망 사용 비용은 우리나라의 망 사용료에 비해서 39% 저렴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우리나라가의 망사용료가 좀 비싸긴 하네요. 물론 주요 6개국만 비교한 수치지만요.

 

 

< 19, 새로운 역사의 시작! >

 

네이버는 231219일에 게임 방송 플랫폼 치지직(가칭)의 베타 서비스를 시작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정식 출시는 24년 상반기 내에 결정될 전망입니다.

 

네이버가 트위치가 철수하면서 붕 떠버린 트위치 스트리머 및 이용자를 대거 유입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는데요,

 

실제로 트위치 CEO인 댄 클레시는 126일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네이버가 치지직 서비스를 런칭 한다면, 기존 트위치 스트리머들에게 또 다른 옵션이 주어지는 것이고, 필요하다면 네이버와 협력할 의사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 치지직의 가치가 1조라고? >

 

한 증권사가 치지직에 대한 증권사 리서치 보고서를 발행했는데요, 이 리포트가 상당히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리서치에 따르면, 만약 치지직이 트위치의 모든 트래픽을 수용하게 된다면, 치지직의 사업가치가 1조원에 달할 것이라 전망을 했습니다. 실제로 녹두로, 릴카 등 현재 많은 스트리머들이 치지직으로 옮길 것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또한 리서치에 의하면 네이버의 카페와 블로그 등의 커뮤니티와의 시너지가 기대가 되며, 이들을 연계한 이커머스나 광고효과로 수익이 좋을 것이란 밝은 전망이 있습니다.

 

물론, 그때 가 봐서 실제로 어떤 성과를 거두는지는 지켜봐야겠습니다만, 트위치의 사업철수로 시작이 나쁘지 않다고 보여집니다.

 

 

오늘은 갑작스레 한국 시장에서 떠난다는 발표를 한 아마존의 트위치와, 이와 대조적으로 새롭게 진입한다는 네이버 치지직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봤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