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투자 뉴스

중즈그룹 부도... (feat. 그림자금융)

by 지올라 2024. 1. 8.
반응형

 

그림자라는 말이 흔히 긍정적 의미보단, 부정적 느낌이 강하죠. 그리고 남몰래 무언가 할 때, 비제도권에서 무언가 할 때 쓰이는 용어죠. 오늘은 중즈그룹의 부도로 그림자금융이 터질 것 같다는 전망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흔히 우리가 위기가 터진다 터진다 하면 안 터지고, 위기가 안 올 것이라 방심하고 있을 때 오죠. 과연 이번엔 그림자금융위기가 올까요?

 

 

< 중즈그룹 부도 >

 

최근 중국 최대 민영 자산관리 회사인 중즈그룹이 부도를 선언했습니다. 중즈그룹은 부동산 개발업체에 대한 자금 대출을 주력으로 했던 기업으로, 중국 그림자 금융의 대표적인 기업 중 하나였습니다.

 

 

< 그림자금융이 뭐야? >

 

중즈그룹의 부도는 중국 그림자 금융의 위험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켰습니다. 그림자 금융은 은행과 유사한 신용중개(대출) 기능을 말합니다. 그림자 금융은 은행 수준의 엄격한 건전성 규제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한마디로 규제 적용을 받지 않는 금융기관 및 금융상품을 말합니다.

 

이 그림자 금융을 취급하는 기관은 은행이 아니므로 예금자보험과 같은 공적 지원을 받을 수 없죠. 또 감독 당국의 관리·감독 수준도 낮습니다. , 금융 위기를 유발할 가능성이 아주 높은 금융기관 및 거래를 가리키는 용어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그림자 금융이 구체적으로 왜 위험해? >

 

그림자 금융은 은행의 업무를 보완하고 금융시장의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지만, 다음과 같은 위험 요소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1) 규제 회피

 

그림자 금융은 은행과 달리 엄격한 건전성 규제를 받지 않기 때문에, 위험한 투자를 하거나 지나치게 높은 레버리지를 활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정보 비대칭

 

그림자 금융은 은행과 달리 감독 당국의 관리·감독이 미흡하기 때문에, 투자자들에게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전염성

 

그림자 금융은 은행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은행의 위기가 그림자 금융으로 전이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그림자 금융의 위험성을 잘 보여준 사례입니다. 당시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시장에서 발생한 대출 부실이 그림자 금융을 통해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전례 없는 금융 위기를 초래했습니다.

 

 

< 중즈그룹 부도가 금융위기로? >

 

중즈그룹의 부도는 중국 그림자 금융의 전염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중즈그룹은 부동산 개발업체에 대한 자금 대출을 주력으로 했습니다. 중국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부동산 시장이 침체에 빠지자, 중즈그룹의 자산 가치가 급락하면서 유동성 위기를 맞았습니다.

 

중즈그룹의 부도로 인해 중즈그룹과 거래했던 부동산 개발업체와 투자자들은 투자금 회수가 어렵게 됐습니다. 이들이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또한, 중즈그룹의 부도가 다른 그림자 금융 기업으로 전이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한마디로 사람들은 중즈그룹이 무너졌는데, 다른 기업은 괜찮은가란 의심을 하게 될 것이고, 이는 사람들이 자신들이 투자한 투자금을 다 회수할 가능성을 키웁니다. 기업은 큰 돈을 벌기위해 돈을 빌려 사업을 하는 것이 본질입니다. 그런데 기업이 돈을 구하기 힘들어지면, 결국 돈을 빌리지 못한 기업은 망하게 됩니다.

 

 

< 중국 정부가 막아주나? >

 

중국 정부가 중즈그룹 사태의 확산을 막기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인 요인입니다. 중국 정부는 중즈그룹의 파산 신청을 수리하고, 중즈그룹의 자산을 매각하는 등 구조조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정부는 그림자 금융의 위험성을 완화하기 위한 규제 강화에도 나서고 있습니다.

 

따라서 중국 그림자 금융이 중즈그룹 부도로 인해 완전히 무너질 가능성은 낮습니다. 그러나 중즈그룹 사태는 중국 그림자 금융의 위험성을 재확인시킨 사건으로, 중국 정부가 그림자 금융의 위험을 완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은 그림자금융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