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맘대로 경제 해석

중국의 지급준비율 인하 카드, 과연 성공할까? (feat. 화장품주)

by 지올라 2024. 9. 28.
반응형

 

지난 9월 27일,  중국 인민은행은 부진한 중국 경기의 부양을 위해 지급준비율을 0.5% 포인트 인하했습니다. 지준율은 금융기관 맡고 있는 고객의 예수금 중 중앙은행에 예치해야 하는 자금의 비율입니다.

 

만약 지준율이 7%라고 치면, A은행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A 은행에 예치한 총금액이 100원일 경우, 이 100원의 7%인 7원을 중앙은행에 예치해야 합니다. A은행은 7원을 제외한 93원을 가지고 대출 및 투자 사업을 하면서 수익을 창출해야하죠. 중앙은행이 지준율을 낮추면, 금융기관들이 투자나 대출에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이 커지죠. 반대로 지준율을 높이면, 은행이 투자나 대출에 사용할 수 있는 돈이 적어집니다. 

 

이 말을 달리 표현하자면, 중앙은행은 지준율을 낮춤으로써, 시중에 더 많은 자금이 유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중국의 중앙은행은 지준율을 낮췄고, 이를 통해 중국 금융기관들은 더 많은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죠. 즉, 중국 정부의 지준율 인하 카드는 금융기관들이 기업과 가계에 대출을 늘려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시장에 유동성을 퍼뜨리는 중국의 이런 통화 정책은 경제 회복을 도모하고, 글로벌 경제에도 다양한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중국의 지준율 인하의 파급력을 살펴봅시다. 중국은 한국의 최대 교역국 중 하나죠. 중국 경제의 변화는 한국 경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만약 중국의 지준율 인하로 인해 경기 부양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중국 내수와 수출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커지죠. 이는 한국의 대중국 수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요, 주로 반도체, 화학 제품, 철강 등 주요 수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중국의 지준율 인하 발표 후,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제이준코스메틱, 신세계인터내셔날, 한국화장품제조, 한국콜마 등 화장품 주들의 강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 경제는 중국의 경기 부양책에 따라 수출 증가 및 경제 성장률 상승이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는 중국의 경기 부양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30년 만기 중국 국채 수익률이 꾸준히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물론 지준율 인하 발표 직후 반등을 보이긴 했지만, 안전자산을 선호해 국채에 투자하는 대다수 투자자들은 중국의 경기 회복 가능성에 대해 불확실성을 느끼고 있음을 의미하는듯 보이죠.

 

한 나라의 경제활성화는 유동성에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그 국가 경제 구조가 문제시 되고 있다면 이는 유동성으로 해결하는데 분명한 한계를 지니죠. 중국경제의 불확실성의 경우, 가장먼저 부동산 시장의 침체와 지방 정부의 부채 문제를 들 수 있습니다. 이는 지준율 인하와 같은 단순한 통화 정책만으로 경제 전반을 활성화하는 데 뚜렷한 한계가 있습니다.

 

또한, 현재 중국의 청년 실업률은 사상 최고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통계야 믿을 수 없다는 의견도 많지만, 어쨌든 중국의 청년실업률이 15%를 상회한다는 말은 공공연한 사실로 보여집니다. 중국의 소비자와 기업이 향후 경기 전망에 대한 긍정적 신뢰가 부족하다고 느낀다면, 낮아진 대출 금리에도 불구하고 소비와 투자가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어렵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결국, 중국의 지준율 인하는 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수단이지만, 구조적인 문제와 시장의 신뢰 부족이라는 장애물로 인해 성공 여부가 불확실합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글로벌 금융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며, 특히 중국 경제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한국 경제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따라서 중국의 지준율 인하 카드가 중국 경기 부양 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를 주목해야합니다.

반응형

댓글